20201214~20201219 읽은 기사 중 일부 발췌
December 17th, 2020
- Prince Harry, Meghan Markle Strike Spotify Podcast Deal | Hollywood Reporter [[기사저장]] [[스포티파이]]
- https://www.evernote.com/l/AlxkAhqw6ENMwL1h5TFF73orA60gDxUoTlo/
- <모든 팟캐스트는 스포티파이로 통한다> 영국 해리 왕자 커플이 스포티파이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스포티파이가 소유한 김렛 미디어를 통해 팟캐스트를 제작할 예정입니다. 해리 왕자 부부는 올해 영국에서 캘리포니아로 이사오면서, 넷플릭스와 다큐멘터리 제작을 계약했고 팟캐스트는 이 연장선입니다. 메건 마클 왕자비는 미드 슈츠 등에 나온 유명 배우였는데, 이 미디어에 친숙한 배경 때문에 넷플릭스 스포티파이와 협업하는 듯합니다. 미셸 오바마, 해리 부부 등 유명 정치인 혹은 공인이 팟캐스트를 고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노출 없이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유명 정치인은 하나의 아이콘을 넘어서 일종의 브랜드인데요, 스포티파이와 넷플릭스 등 유명 플랫폼은 이들의 브랜드 자산을 만들어줄 수 있는 주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팟캐스트는 넷플릭스와 달리 자신의 이미지 노출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작에 공수가 덜 들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형성이 쉽습니다. 말과 글에 능한 공인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콘텐츠 제작을 해보면 아시겠지만, 팟캐스트는 책을 쓰는 일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대본을 쓰고, 그에 맞추어 녹음하기 때문인데요. 자신이 내고자 하는 목소리를 가장 정제된 형태, 가장 통제하기 쉬운 형태로 내보낼 수 있기에 팟캐스트는 더욱 매력적입니다. 특히 스포티파이는 가장 글로벌한 플랫폼이기 때문에 브랜드 자산을 만드는 데에 더욱 유리합니다.
- 한국의 팟캐스트는 자극적이고, 정치 이슈 혹은 범죄 이슈에 국한되었습니다. 유명 정치인 내지 배우 혹은 공인이 직접 팟캐스트를 제작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아직은 미디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을 쌓기가 쉽지 않으며, 실제로 모두가 썸네일 클릭 등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이슈 발굴 및 콘텐츠 제작에 혈안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런 선례를 보고 자신의 브랜드 자산을 쌓기 위해 더욱 고급스러운 콘텐츠 제작에 힘쓰는 공인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네요
- 페북, EU 규제법안 이례적 환영…"애플 말려줘" : 네이버 뉴스 [[기사저장]][[애플]][[페이스북]]
- https://www.evernote.com/l/Alz_A4rfRclKtLQpx458BCJmZE53Xf3A1sU/
- EC 법안 : 플랫폼 사업자 경쟁 방해 행위 금지 / 자사 상품 및 콘텐츠 우대 금지
- 애플의 데이터 공유 금지 행위 -> 경쟁 억제일 수도>
Prince Harry, Meghan Markle Strike Spotify Podcast Deal | Hollywood Reporter
Advertisement Prince Harry, Meghan Markle Strike Spotify Podcast Deal 7:00 AM PST 12/15/2020 by Natalie Jarvey FACEBOOK TWITTER EMAIL ME YOUTUBE Advertisement The multiyear partnership kicks off ...
www.evernote.com
December 18th, 2020
- 페북, EU 규제법안 이례적 환영…"애플 말려줘" : 네이버 뉴스 [[기사저장]][[페이스북]][[애플]]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208137
- EC 법안 : 플랫폼 사업자 경쟁 방해 행위 금지 / 자사 상품 및 콘텐츠 우대 금지
- 애플의 데이터 공유 금지 행위 -> 경쟁 억제일 수도>
- <이제 너네끼리 싸우고, 죽여라>
- - 페이스북이 애플의 데이터 정책에 반대하는 기사를 NYT, WP에 내보냈습니다. 현재 페이스북은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여러 소송을 당하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대 애플 전선을 구축한 이유는 뭘까요?
- - 애플의 데이터 정책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애플은 자사 최신 앱스토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든 앱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용자 데이터 맞춤형 광고 (오디언스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페이스북에겐 치명적입니다.
- - 페이스북은 소상공인 (SMALL, MEDIUM SIZED BUSINESS)에게 최고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타겟팅, 리타겟팅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 마케팅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페이스북은 애플 데이터 정책이 '신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치명적이라고 공격하고 있습니다.
- - 페이스북 주장이 맞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미 수많은 데이터가 있는 대기업은 기존 데이터만 활용해도 되지만, 소상공인은 그럴 수 없습니다. 데이터가 없고, 자본이 없기 때문이죠. 페이스북은 데이터도 없고, 자본도 없는 이들에게 전 세계를 겨냥한 마케팅을 도우며 성장했습니다.
- - 빅테크의 내분은 여러 시그널을 줍니다. 현재 빅테크기업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등) 은 서로 얽혀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이 여러 기업들을 어떻게 규제하고 관리할지 골치였는데요, 이 내분이 기업 거버넌스 개혁 내지 기업 규제에 새로운 힌트를 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로 공격하는 논리가 곧 규제의 논리이기 때문이죠.
- - 구글은 어떤 입장일까요? 사실 둘은 오월동주였습니다. 애플 아이폰에 유튜브를 선탑재하면서 유튜브 성장세를 유지했고, 구글 검색 엔진 선탑재로 검색 엔진으로서 지위를 유지했기 때문이죠. 현재 구글은 딱히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이미 '웹' 시장을 먹고 있기 때문에 애플의 정책이 큰 영향을 주지 않기도 하고, 구글 자체가 새로운 앱이라기보다는 자사 자체가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앱을 운영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 지난해 방송시장 매출 17조7천억…IPTV 첫 지상파 ‘추월’ : 네이버 뉴스 [[기사저장]][[iptv]][[지상파]][[기사저장]]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208222
- 집에 있음 -> IPTV에서 여러 콘텐츠 구매 . 광고 기반이던 지상파는 매출 떡락. 가 아니라 가입자도 늘었고, 홈쇼핑 송출 수수료도 늘었네.
- Facebook takes swipe at Apple while supporting draft EU rules | Reuters [[페이스북]][[애플]][[기사저장]]
- https://www.reuters.com/article/eu-tech-facebook/facebook-takes-swipe-at-apple-while-supporting-draft-eu-rules-idUSKBN28P2NS?campaign_id=4&emc=edit_dk_20201217&instance_id=25131&nl=dealbook®i_id=90344879&segment_id=47199&te=1&user_id=7c0a96d67a8aa8a68bd4d9aa4221f817
- dsa -> 불법저깅고 선거에 영향 주는 ㅗㅋㄴ텐츠 안 지우면 벌
- dma -> 지네한테 유리하게 만들면 ㅓㅂㄹ칙.
- 10 States Accuse Google of Abusing Monopoly in Online Ads - The New York Times [[구글]][[기사저장]]
- https://www.evernote.com/l/Alz-m7MAXtVIa4-qFFGAjnFFaOal91f-5S4/
- 퍼블리셔한테 과하게 비용을 청구하고 (수수료를 떼어가고)
- 구글이 시장지배자인가? 아마존도 있는데?
- 수수료 -> 퍼블리셔에게 세금 -0> ㅅ시민에게 비용 전가
- 검색엔진시장지배력 => 광고시장지배렭
- 구글의 시련, 세번째 반독점법 소송 당해 : 네이버 뉴스 [[기사저장]][[구글]][[반독점법]]
- https://www.evernote.com/l/Alz98U00H_ROvJCgh_aembdE1rGWhqrw4-0/
- 1, 주정부 : 구글인 광고 업체 인수 후 자사 ㅠㅇ리하게 가격조정하고 과하게 ㅂ용 전가.
- 2.30개 주정부 : 구글이 검색 사이트에서 자사 결과 유리.
- U.S. Accuses Google of Illegally Protecting Monopoly - The New York Times [[기사저장]][[구글]][[반독점법]]
- https://www.evernote.com/l/AlzJ2p6S_odKOY1uOZVrj52bM5tVQnsG1O8/
- 구글이 경쟁 억제 혐의. 애플이랑 ㅅ효부쳐서 선탑재 시킨 등
- 독점이 오히려 효용이 되는 지금 시대에 반경쟁 시장 상황이 독이 되는 걸 즈영하기 어려움
- 법무부는 애플이랑 쇼부친 걸 조지려고 함 전체 검색 트래픽 중 절반이 구글 검색 트래픽 중 절반이 애플 기곙세서 나옴.기본 검색 에진으로 설정해서 글너 거야!
- 구글은 선택권이 보장됐다고 하고 강요하지 않았또가 ㅎ
-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페북은 왜 구글과 '공동 공모자'가 됐나 : 네이버 뉴스 [[페이스북]][[구글]][[기사저장]]
- https://www.evernote.com/l/AlykieokDjZEgKNSZrgKUVWPUa8dUvjD27s/
- 퍼블리셔가 공정하고 개방된 방식으로 인벤토리 경매하.ㅁ 그동안은 구글이 다 먹음. 그런데 페북이 끼어드록자 함. 광고주 웃음. 페북이랑 구글이 알아서 경쟁해서 가격 가까아라
- 야야 너네 독자 경매하지마. 우리랑 같이 팔아.
- Facebook Accused of Breaking Antitrust Laws - The New York Times [[기사저장]][[페이스북]]
- https://www.evernote.com/l/AlzCoGhFT5VOYoL6pFfmoC8vQYpd2f4REHY/
- FTC와 40개 넘느 주가 페이스북을 고소함.경쟁저해.
- 저번엔 구글을 고소하더니 이젠 페북.
- 페이스북-애플 전쟁을 시작하다 [[기사저장]][[페이스북]][[애플]]
- https://www.evernote.com/l/Alz5fBHmwRFPCJEAI9V50uUBVptL7ExBACY/
- 애플은 최근 운영체제를 바꾸면서 애플 앱스토어에 올라오는 모든 앱들은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떻게 이를 활용하는지를 밝히게끔 했음. 개인데이터 보호를 위한 조치. 만일 이를 끝끝내 따르지 않으면 앱스토어에서 퇴출시키겠다는 정책. 그런데, 이 정책에 큰 타격을 입는 것이 바로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다른 모바일앱들이 페이스북의 광고시스템만 가져와서 쓸 수 있도록 만든 라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데, 애플의 운영체제 변경으로 인해 이 사업부는 매출이 50% 이상 떨어질 수 있는 상태.
- ● 페이스북의 주장은? 페이스북은 애플의 정책변경으로 인해 결국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본다고 주장. 여러 모바일 앱을 통해 0개인화된 광고타켓팅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 페이스북은"소상공인들이 광고를 하면 그 효과를 통해 벌어들이는 매출은 60%까지 떨어질 것이라는게 우리 내부 조사결과"라고 밝힘.
FTC와 40개 넘느 주가 페이스북을 고소함.경쟁저해.
저번엔 구글을 고소하더니 이젠 페북.
페이스북-애플 전쟁을 시작하다 [[기사저장]][[페이스북]][[애플]]
December 19th, 2020
techcrunch.com/2020/12/17/filing-discord-is-raising-up-to-140m-at-a-valuation-of-up-to-7b/
Update: Discord confirms raising $100M at a valuation of $7B – TechCrunch
The world of virtual communications continues to hold a central place in our socially-distanced lives, and today it looks like one of the companies reaping some of the spoils is also reaping some funding out of it. Discord, the chat and communications plat
social.techcrunch.com
Discord confirms raising $100M at a valuation of $7B [[기사저장]][[디스코드]][[커뮤니티]]
7조 기업이 된 디스코드 :
디스코드를 아시나요? 게이머라면 누구나 아이디를 갖고 있는 음성 메신저입니다. 게임할 때 주로 사용하는 음성 메신저입니다. 스타크래프트를 하는데 상대방과 음성으로 이야기하고 싶으면, 사용합니다. 음성은 물론이고, 텍스트 채팅도 가능하고 여타 게임 메신저보다 훨씬 좋은 음성 품질과 사용감을 제공합니다. 과거엔 스카이프가 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었는데, 차별적인 퀄리티로 디스코드가 압도했습니다.
하지만 메신저를 넘어선 지 오래입니다. 더불어 사용자끼리 화면 공유는 물론이고, 슬랙처럼 디스코드 봇도 개발하고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이 모든 기능이 무료입니다.
현재 디스코드 비즈니스 모델은 크게 1) 유료 구독 (1달 10달러 / 채팅에서 쓸 수 있는 GIF 등 제공) 2) 디스코드 플랫폼 내 게임 판매 (앱스토어처럼 디스코드 통한 게임 유통) 입니다. 디스코드는 매출과 영업이익을 뚜렷하게 밝히지 않았습니다.
디스코드는 얼마 전 1천 억 투자를 받았고, 기업 가치가 무려 7조로 평가받았다고 합니다. 대체 왜일까요?
1) 커뮤니티 2) 커뮤니티 3) 커뮤니티 입니다.
대부분의 게이머가 써본 적이 있고, MAU가 140만 명에 달하는 디스코드는 아마 가장 사용자 프로필이 가장 어린 커뮤니티가 아닐까 싶습니다. 롤, 오버워치, 배그, 어몽어스 등 여러 게임 사용자가 쓰는 만큼 젊고 다양하겠죠.
디스코드에 대한 투자 (미래로 보면 인수) 는 이 커뮤니티 사용자의 정보를 가져가는 일입니다. 광고를 붙일 수도 있고, 커머스를 붙일 수도 있고, 하다 못해 이를 통해 게임 유통 산업에 진출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존이 트위치를 미래를 보고 인수했듯, 그린옥스 캐피탈 등 투자사들도 이걸 보고 투자하지 않았을까요? 게임할 때만 머무는 디스코드가 아니라, 디스코드 자체가 목적이 되어 체류하는 플랫폼이 된다면 더욱 높은 가치로 기업을 매각하거나 IPO할 수 있기 때문이죠. 당근마켓이 커뮤니티 성격이 있기에 높게 평가 받듯, 디스코드 역시 사용빈도가 높고, 세계적이고, 젊은 커뮤니티이기에 고평가받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www.mk.co.kr/news/world/view/2020/12/1293141/
페이스북-애플 전쟁을 시작하다
애플, 사생활보호정책 변경하자 페이스북, 신문광고로 강력 반발
www.mk.co.kr
<이제 너네끼리 싸우고, 죽여라>
- 페이스북이 애플의 데이터 정책에 반대하는 기사를 NYT, WP에 내보냈습니다. 현재 페이스북은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여러 소송을 당하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대 애플 전선을 구축한 이유는 뭘까요?
- 애플의 데이터 정책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애플은 자사 최신 앱스토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든 앱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용자 데이터 맞춤형 광고 (오디언스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페이스북에겐 치명적입니다.
- 페이스북은 소상공인 (SMALL, MEDIUM SIZED BUSINESS)에게 최고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타겟팅, 리타겟팅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 마케팅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페이스북은 애플 데이터 정책이 '신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치명적이라고 공격하고 있습니다.
- 페이스북 주장이 맞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미 수많은 데이터가 있는 대기업은 기존 데이터만 활용해도 되지만, 소상공인은 그럴 수 없습니다. 데이터가 없고, 자본이 없기 때문이죠. 페이스북은 데이터도 없고, 자본도 없는 이들에게 전 세계를 겨냥한 마케팅을 도우며 성장했습니다.
- 빅테크의 내분은 여러 시그널을 줍니다. 현재 빅테크기업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등) 은 서로 얽혀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이 여러 기업들을 어떻게 규제하고 관리할지 골치였는데요, 이 내분이 기업 거버넌스 개혁 내지 기업 규제에 새로운 힌트를 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로 공격하는 논리가 곧 규제의 논리이기 때문이죠.
- 구글은 어떤 입장일까요? 사실 둘은 오월동주였습니다. 애플 아이폰에 유튜브를 선탑재하면서 유튜브 성장세를 유지했고, 구글 검색 엔진 선탑재로 검색 엔진으로서 지위를 유지했기 때문이죠. 현재 구글은 딱히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이미 '웹' 시장을 먹고 있기 때문에 애플의 정책이 큰 영향을 주지 않기도 하고, 구글 자체가 새로운 앱이라기보다는 자사 자체가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앱을 운영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Books&Biz] 소비자 `혹`하게 하려면 3초안에 `훅` 들어가라
Hook Point / 브렌던 케인
www.mk.co.kr
1. 훅 포인트 공부하기 : 성공적인 브랜드의 훅 포인트 리스트 작성. 기사 헤드라인, 지면광고, TV광고 문구 작성해서 이게 왜 3초만에 눈길을 끌었는지.
2. 실패한 훅 포인트 알아보기 : 너무 말이 많거나, 모호하거나 ,이해하기 힘든 포인트들
3. 자사 포인트 고민 : 우리 제품이 대형 신문이나 잡지 커버 기사로 들어간다고 상상할 때
4. 내 포인트와 성공한 포인트 비교하기.
- 최소한의 단어로 표현하기.